서울대병원 강박증클리닉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과 평가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검사 방법들을 동시에 시행하고,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진단과 치료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뇌기능과 관련된 여러가지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입니다. 다양한 신경심리학적 측정도구들을 이용하여 강박증 대상자들의 지능, 주의력, 집중력, 언어적/비언어적 기억력, 언어적 유창성, 실행기능, 시지각 능력 및 타인의 마음을 추론하는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자기공명영상은 신체에 해를 주지 않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단층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영상 기법입니다. 일반 병원에서 사용하는 구조적 뇌자기공명영상 (structural MRI), 뇌의 백질 연결성을 자세하게 살필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 (diffusion tensor imaging) 및 뇌의 활성도를 살필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functional MRI) 같은 최신 촬영 기법을 사용하여 정밀한 뇌 구조 및 기능 검사를 진행합니다.
구조적 자기공명검사는 수소분자의 밀도 차이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시각화하여 뇌의 해부학적, 구조적인 상태를 볼 수 있는 영상 기법이며, 기능적 자기공명검사는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과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 헤모글로빈의 농도 차이에서 생기는 신호를 시각화하여 뇌의 어느 영역에서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지 기능적인 상태를 볼 수 있는 영상 기법입니다.
뇌파 및 사건관련전위 검사는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이용해 뇌의 신호처리 기능의 이상유무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휴지기 또는 청각 및 시각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의 뇌파를 분석하여, 인지기능 및 감각 정보처리의 이상유무를 평가하고, 이러한 감각 정보처리가 하향식 및 상향식 인지 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안구운동검사는 모니터를 보는 동안 카메라로 눈에서 반사되는 빛을 촬영하여 시간에 따른 눈동자의 움직임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서울대병원 강박증 클리닉에서는 레이복합도형검사 (Rey Complex Figure Test, RCFT) 그림을 보는 동안 안구운동검사를 시행하여, 강박증 환자의 시공간 기억력 및 조직화 능력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평가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자가보고설문지 및 가족설문지를 통해 정서상태와 사회기능을 다방면에서 평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