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이란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Clinic

최신연구 및 치료동향

안구 운동 검사를 이용한 강박장애의 인지기능 검사 도구 개발 연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2

작성일 2022-05-11 15:02 댓글 0건 조회 181회

본문

제목: Eye movement as a biomarker of impaired organizational strategies during visual memory encod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저널: Scientifc Reports 2021


강박장애(OCD)의 증상은 주로 우리 뇌의 집행기능의 손상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강박장애를 잘 치료하기 위해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강박 증상과 뇌의 이상 사이의 간극을 메워 줄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 지표로써 레이 복합 도형 검사를 이용하여 복잡한 도형을 어떻게 머릿속에 잘 입력하고 외우는지에 대한 인지기능을 측정한 결과를 사용하고 있는데, 레이 복합 도형 검사를 이용하는 검사는 시간과 비용, 노력이 매우 많이 들고 바이오마커로써의 기능은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검사를 통해 레이 복합 도형 검사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바이오마커 기반 인지기능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04명의 강박장애 환자들과 114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 모두에게 복잡한 도형을 3분간 바라보고 외우게 한 후 그 도형을 그대로 기억해서 따라 그리게 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이 3분간 도형을 보고 외우는 동안 안구운동 검사를 이용해 그들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그 결과, 집행기능이 손상된 강박 장애 환자들은 복잡한 도형을 좁은 영역 위주로 바라 보았고, 이는 환자들이 도형의 전체적인 큰 그림 보다는 그림의 세부사항에 더욱 치중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집행기능이 덜 손상된 피험자들은 도형을 전체적이고 넓게 보면서 계획적으로 암기를 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3분 동안 눈으로 도형을 어떻게 보는지를 알아보는 안구운동 검사만으로도 강박장애 환자의 집행기능을 측정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안구운동 검사가 강박장애 환자들의 집행 기능과 같은 인지기능을 빠르고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데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간편한 바이오마커 기반 검사 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