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기핵의 기능적 연결성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반응 예측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1
작성일 2022-05-11 23:20 댓글 0건 조회 178회
관련링크
본문
제목: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raphe nucleus as a predictor of the response to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저널: Neuropsychopharmacology 2019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한 1차 약제이다. 다만 환자의 절반 가까이에서 SSRI에 대한 반응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강박증 환자들의 서로 다른 세로토닌 기능장애를 정밀의학으로 조사하고 SSRI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면 처음부터 SSRI를 사용하거나 다른 약제를 사용하도록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세로토닌성 뉴런이 위치하는 솔기핵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약물 치료를 시작하기 전 촬영한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솔기핵과 대뇌 피질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솔기핵과 좌측 측두엽 사이의 기능적 연결성이 4개월 뒤 강박증 환자의 SSRI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솔기핵을 중심으로 한 강박증 환자의 뇌 기능적 연결성을 통해 SSRI에 대한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실제 진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였다.
- 이전글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강박증 환자의 뇌 기능 네트워크에 끼치는 영향 연구 22.05.13
- 다음글강박장애 환자의 뇌기능연결성에 따른 분류 및 치료 반응 차이 연구 22.05.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